- 공유 링크 만들기
- X
- 이메일
- 기타 앱
Linux redhat 9.0 - chapter 2 리눅스 기초
loopback??
/etc/init.d/network stop
/etc/init.d/network start
해당디렉토리에 들어가서 실행할시에는 ./ 로 한다.
절대경로를 할때는 경로로만 한다.
내가 누구로 로그인 했을까?
whoamiwho
who am i
change password
passwd 엔터insert passwd
커널버젼 보기
uname -a접속계정 자세하게 보기
w이 서버에 설치된 OS가 어떤 버전 인지 확인
cat /etc/*release현재 리눅스에 깔린 패키지 출력
rpm -qacpu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
cat /proc/cpuinfo일반 계정 만들기
useradd 사용자이름 (계정생성)passwd 사용자이름 (비밀번호 설정)
tar 명령
일단 파일을 압축하지 않고 그냥 합쳐버리기만 하니, 다시 기존의 파일들을 복구할 때 속도가 엄청나게 빠르다. 붙인 파일들을 떼기만 하면 되니까gzip은 한번에 한개의 파일만 압축할 수 있다. 다수의 파일이 있을 때에는 tar로 묶고 gzip으로 압축하는 것이다.
gzip 파일- 선택된 파일을 압축한다.
gzip -d 파일 - 선택된 파일을 해체한다.
확장자
tar : tar 프로그램으로 압축된 파일, 사실 압축이 아닌 여러 파일들이 하나로 뭉쳐져 있는gz : gzip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압축된 파일, 한번에 하나의 파일만 가능
tar.gz : tar 로 여러 파일을 하나로 묶고 난후, gzip으로 압축한 파일
tgz : 위의 tar.gz 을 합쳐서 tgz 라는 확장자로 만들 때도 있다고 한다.
tar cvf 명령을 이용하여 이 파일들을 하나로 합쳐버린다.
gzip 명령을 이용하여 압축해 용량 줄인다.
이 압축 파일 잘 보관.
후에 리눅스를 재설치하거나, 크래킹을 당하여 자료가 손실되었을때
gzip -d 명령을 이용하여 다시 tar로 만든다.
tar xvf 명령을 이용하여 파일들을 복구한다.
손실된 파일 다시 복구 완료 해커스쿨
댓글
댓글 쓰기